-----------------
백평석님께서 쓴 글
저번에 내가 문의드린 것을 너무 상세하게 답변을 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다시 한 번 문의드리오니 답변 부탁드립니다. 2021년도에 7억 정도 청약한 ELS가 2022년도에는 1개도 상환이 되지 않았고, 2023년도에 1억 정도 상환되고, 남은 6억 전액이 2024년 4월과 5월에 3년 만기상환이 되면서 2025년도 종합소득세에서 세금폭탄을 맞을 것 같아서, 세금폭탄을 피하는 방법을 문의드리오니 도움 말씀 부탁드립니다.
(문의) 소득이 아래와 같을 때 과세표준은 얼마 정도 되는지요?
1. 금융소득 : +121,500,000원
2. 연금소득 : +40,000,000원
3. 개인공제 : -1,500,000원
(참고) 내가 대충 계산해보면
1. 과세표준은 ‘121,500,000원+40,000,000원-1,500,000원=160,000,000원’이 되어,
2. 내가 납부할 종합소득세는 세율 38%에 누진공제 19,400,000원이 되므로,
‘(160,000,000원×38%)-19,400,000원=60,800,000-19,400,000원=41,400,000원’이 되고,
3. 내가 납부할 지방세는 ‘41,400,000원×10%=4,140,000원’이 되어,
4. 내가 납부할 총 세금은 ‘41,400,000원+4,140,000원=45,540,000원’이 됩니다.
내가 계산한 방법에서 문제가 있는 부분을 수정 부탁드립니다.
(답변) 금융소득종합과세의 특성상 2천만원까지는 분리과세(이자소득세14% +지방소득세1.4%)하고
2천만원 초과분만 종합과세가 되기 때문입니다.
그러므로 제가 계산한 내용으로는 2025년도 소득의 종합소득세 신고시에 지방소득세 포함하여 21백만원 가량 예상됩니다.
p/s 고객님~~
저는 저희 기장거래업체의 세무상담, 경남은행 pb의 요청에 의한 고객세무상담을 하는 세무사입니다.
일반인의 세무상담을 하지 않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만약, 기장거래처 대표님이시라면 해당 거래처 회사명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.